신출내기였던 제가 실용 오디오에 가입 한지 언 14년~
여기서 참 얼쉰 들에게 많이 배우고 많이 듣고 했는대요..
이번에 제가 얼쉰 들을 위해 조그만한 리뷰 한번 해드리겠습니다!
LP 에서 CD 에서 SACD 에서 음원 파일로 이렇게 시대가 변하고 있지만
여전히 고전을 추구하시는 고집이 굉장히 강하신 저희 얼쉰들도 그래도!
시대가 변하는 만큼 변하는 정보는 알고 가시는 것이 그래도 낫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쪼메~ 젊은 제가 짧은 지식으로 요즘에 유행인 192/24 비트 음원 96/24 비트 음원 의 과정을 리뷰해봅니다!
일단 가장 중요한 SACD 를의 데이터를 통한 리핑이 순서 입니다! 리뷰 시작 하겠습니다! ( _ _ )
이번 리뷰는 여러 회원님들이 궁금해 하시는 플레이스테이션을 이용한 SACD 리핑으로
DSD 음원 파일과 PCM 192/24 비트 음원 96/24 비트 음원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많은 관심바랍니다!
준비 해야 할 물건은 구형 플레이스테이션3 리핑 펌웨어 버전과 외장하드 그리고 SACD암호코드 입니다!
이 세가지가 필수 조건 이고 꼭 필요한 준비물 입니다!
이 펌웨어 버전의 주위해야 할 점은 꼭 렌선 입력을 막아 놔야 한다는 겁니다!
잘못 해서 렌선을 연결 하고 기기를 켜시면 자동으로 펌웨어가 업데이트 되서
두번 다시는 SACD 리핑기로는 사용 불과 입니다! 다시 리핑이 안됩니다! 꼭 막아 두셔야합니다!
자 그럼
사진에 보시는 것과 같이 플레이스테이션3 구 버전 리핑 펌웨어 버전 입니다
이 버전만 가능 하고 이 다음으로 나온 플레이스테이션3 버전 들은 리핑 펌웨어가 절대 안됩니다!
(똑같이 생겨도 버전이 틀리면 펌웨어가 안됩니다!)
그리고 외장하드는 FAT32 FH 파티션 포맷을 꼭 해야 SACD 리핑이 인식이 됩니다!
다음 준비해야 할 가장 중요한 SACD 암호 코드 입니다!
SACD 에는 여러가지의 암호 코드가 내장 되 있으며 꼭
암호 코드가 반드시 있어야 암호를 풀어 리핑이 가능합니다!
이 암호 코드가 없으면 플레이스테이션3 리핑 기기가 있어도 리핑은 불가능 합니다!
이 세가지 조건이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그럼 SACD 를 골라보죠!
오늘 리핑을 해볼 SACD는 "아르투르 피자로" 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SACD 음반 입니다!
그럼 SACD를 플레이스테이션3 기기에 넣어 주고
플레이스테이션 메인 화면으로 넘어 가겠습니다!
화면에 보시는 것과 같이 플레이스테이션3 SACD 리핑 버전의 메인 메뉴는
다른 플레이스테이션과3 와 다르게 메뉴 화면에 SACD-리핑 구동 화면이 나옵니다!
정말 쉽게 아주 잘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 리핑을 클릭합니다! "
그 다음은 리핑을 할 종류를 선택 해야 하는대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가장 흔한 걸로 알려드립니다!
첫번째는 DSD ISO 통 파일로 리핑을 선택 할 것이냐 입니다!
두번째 의 화면은 DSD IFF 파일로 만들 것인가 입니다!
이것은 트랙 별로 만들어 주는 파일이고 DSD 데이터를 SACD 제작을 위해 편집 전송이 가능한
파일 포맷으로. 프로 스튜디오 에서 사용되는 파일입니다!
세번째는 DSF 파일로 스튜디오용 DSD,DSF 파일입니다!
SACD 가 아닌 DSD 디스크 포맷 으로 DSD 디스크 제작을 위해 개발된 포맷입니다!
DSD디스트 포맷 파일은 DSD 파일로 녹음 된 것을 SACD 디스크로 만들 고자 할때.
SACD 디스크가 꼭 아니더라도 다른 것으로 제작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든 포맷 방식입니다!
말하자면 SACD 를 만들기전 DSD DSF 파일이 마스터본이고! 이 파일로
스튜디오에서 SACD 로 제작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DSF와 IFF 방식은 동일하지만! 파일의 헤더 부분과 약간의 변형을 준것으로 순수한 스테레오
음반 제작으로 DSD 파일을 제한시킨 포맷 방식 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DSF 파일의 장점이 하나 있는대... 이 파일은 특정 DVD 레코딩 프로그램으로
DSF 파일을 공DVD 로 구울수 있으며 개인 이 공 DVDCD 로 SACD 를 만들수 있습니다!
단 SACD 전용 플레이어 기기에서는 사용이 안되고!
SACD DVD 플레이어 기기 에서만 인식이 되고 사용 가능 합니다!
(이것도 특정 기기에서는 인식이 안될 때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그냥 이런 것도 된다 하는 정보이니 알고만 계시면 되겠습니다!
자 그럼 3번째인 DSD DSF 파일로 선택을 하고 리핑을 해 보겠습니다!
리핑이 순조롭게 잘 되고 있습니다!
한장의 리핑이 걸리는 시간이 대략 20분 정도 되내요!
자 완성 입니다!
사진에 보시는 바와 같이 외장하드의 SACD암호코드 안에 폴더가 자동으로 생성되며
친절하게 폴더 이름도 자동으로 Artur Pizarro - Beethoven Piano Sonatas 라고 생성 됩니다!
폴더 안의 결과물도 트랙별 제목으로 정확 하게 순서가 나열 되어 있내요! 완성입니다!
자! 그럼 다음 은 표지 입니다!
표지는 CD 의 표지를 꺼내어 스캔에 스캔하는 번거로움 보다는 구굴에서
제목을 찾아 보면 표지 들이 나오니 그것을 활용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CD표지를 스캔 하면 구겨짐이나 실수로 찟기는 사황도 나올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DSD 음원 파일이 새롭게 만들어졌습니다!
자 다음은 DSD 음원을 이용한 PCM 24/192 파일과 24/96 파일 입니다!
음원 파일 가지고 계신 분들은 간혹 192/24 음원이나 96/24 음원이 어디서 나온 것이고.
.
과연 이 파일들이 뻥 파일이 아닐까 생각도 합니다!
오래 전에 음원들중 16/44 CD 음원을 96/24 로 뻥 파일로 올린 파일 들이 간혹 있기는 했었는대요
그 것은 오래전 DSD 파일이 없었을ㄸ때 아직 DSD 파일이 초기 시절때 의
누군가의 의한 장난 질이였구요 요즘 나오는 파일 들은 정확한 192/24 음원이고
정확한 96/24 파일들이 맞습니다!
자 그럼 PCM 192/24 음원과 96/24 PCM 음원 파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은 오디오 게이트 프로그램입니다! 상당히 만족도가 높은 레코딩 프로그램인대요!

오디오게이트를 실행 했습니다! 다음은 만들어진 DSD 파일을 불러드리겠습니다!
따끈 따끈하게 금방 만들어진 DSD DSF 파일들 입니다! 이 파일 들을 변환 해 보겠습니다!
파일은 FLAC 192.0 kHz 파일로 만들어 봅니다!
만들어진 DSD 파일의 마스터 본으로 PCM 192/24 나 96/24 파일로 완성입니다!
PCM 파일 192/24 와 96/24 파일 이 완성 됬습니다!
자 이렇게 해서 두가지의 PCM 방식의 24/96.kHz 와 24/192.kHz 그리고 DSD 음원이 완성 됬습니다!
24/96.kHz 파일의 경우는 용량이 1.70GB 이고
24/192.kHz 파일의 경우 용량이 3.08GB 이고
DSD 파일 의 경우는 용량이 3.09GB 입니다!
이런 경우는 만든 사람의 재량인대..
192 같은 경우는 용량이 너무 커서 대체로 96/24 로 만드는 것으로 생각이 되며,..
테스트 결과 DSD 마스터 본에서 직접적으로 96/24 나. 16/44 등등 으로 만드는것이
음질적으로 좋고
192/24 PCM 파일을 가지고 96/24 나24/88 .. 16/44 로 다운시켰을 경우는 DSD 보단 차이가 납니다 !
DSD DSF 마스터 파일을 가지신 분이 192/24 나 96/24 또는 24/88. - 24/48 로 만들어준 것이 확실하다 생각 합니다!
이상 입니다! 좋은 정보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날씨 너무 더우니 울 얼쉰들은 항상 건강 체크 하시고 몸 건강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필요할때가 생기기를 바라면서...
감사합니다^^